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글자료

인권교육, 가장 낮은 곳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되다


인권교육가장 낮은 곳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되다

 

인권교육 온다



 

인권교육 온다를 아시나요?

온다는 온 마을 구석구석 따뜻한 인권교육을 퍼뜨리고 싶습니다.

온다는 숨겨진 인권을 발견하고 함께 변화하며 성장하는 공간이 되고 싶습니다.”

 

 


 

인권교육, 인권을 다시 만나다

 

   20131025, 수원에서 한 인권교육단체가 창립식을 가졌다. 수원지역의 인권단체인 다산인권센터의 인권교육팀이 본격적으로 독립을 선언하는 순간이었다. 하늘아래 온전히 새로운 것은 없듯이, 다산인권센터에서 인권교육활동을 진행했던 역사 또한 어느 날 갑자기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여러 인권단체와 인권활동가들의 관심과 고민 속에서 인권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되새기게 되었고, 실질적인 활동과 실천으로 풀어내는 과정이 있었다. 그렇다면 온다와 같은 인권교육단체에서 생각하는 인권교육이란 어떤 것일까?

 

인권에 대해 배우는 것 자체가 권리이다. 인권에 대해 무지를 강요하는 것, 내버려두는 것은 인권침해이다. 교육은 인권과 자유의 주춧돌이다.” (UN, ‘인권 새로운 약속)

 

인권은 모든 사람들이 누려야 하는 보편적인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특정 집단의 전유물인 양 여겨져온 게 사실이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주류사회에서 배제되고 소외되어 왔던 사회적 약자, 소수자들을 권리의 주체가 아닌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기도 했다. 인권교육이 사회적 약자, 소수자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인권교육의 목적이 당사자의 실질적 권한강화’-‘역량강화’-‘자력화라는 점에서 사회적 약자, 소수자 교육은 인권교육의 본질에 한 걸음 더 가까이 서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인권교육 오르락내리락 고개 넘기)

 

   인권교육활동의 역사가 촘촘하게 정리된 것은 아니지만, 인권교육 온다가 창립하기 전, 10여년동안 인권교육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특히 다산인권센터에서는 청소년, 장애인, 교사, 사회복지사 등 인권을 더욱 필요로 하는 여러 사람들과 만났고, 이들과의 다양한 만남이 지금 인권교육의 기반이 되어주었다. 사회적 약자, 소수자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야 할 인권운동은 결코 현장을 버릴 수 없다.

   세월이 흐른 지금, 메마른 황무지 같았던 인권교육의 땅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인권이란 단어조차 낯설었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인권교육을 제도화하여 권장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학교에서도, 사회복지기관에서도, 공공기관에서도, ‘인권교육이 꼭 받아야 하는 의무가 되었다. 누구나 인권을 배울 수 있는 권리를 가지기에, 인권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무늬만 인권교육이 되어버리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든다. 인권교육에 대한 이해와 고민을 널리 퍼뜨리기 위한 지속적인 모색은, 그래서 인권교육의 새로운 과제인 것 같다.

 

 

인권교육의 세 가지 기준

 

   인권교육을 통해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것만은 잊지 말자고 하는 것이 있다. 일명 인권교육의 삼발이라고 하는데, 세 가지의 축이 기준이 되어 인권교육을 지지해준다는 생각이다. 인권에 대한 교육, 인권을 통한 교육, 인권을 위한 교육을 하자는 원칙이다.

 

 첫 번째, ‘인권에 대한 교육은 말 그대로 인권이란 무엇인지 그 뜻부터 역사까지 인권에 대해 쉽게 재미있게 전하고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 ‘인권을 통한 교육은 인권을 어떻게 배우는가에 초점이 있다. 인권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인권적이지 않은 환경은 어딘가 이상하지 않은가? 사람들이 지녔던 기존의 가치들과 인권의 가치들이 충돌을 빚는 공간이 바로 인권교육의 장소이다. 인권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면서 장애인, 이주민, 성소수자 등을 비하하는 농담을 하거나, 학생인권을 이야기하면서 몇 백 명을 강당에 몰아넣은 교육환경을 만들어놓고, 졸고 있는 학생을 깨워 나무란다면, 이것은 그 자체로 인권이 무색해지는 것이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가 처음 만들어지고 정말 많은 인권교육의뢰가 들어오고 있는데, 인권을 말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곳은 거의 없었다. 껍데기는 있는데 속은 텅 비어있는 느낌이었다.

 세 번째, ‘인권을 위한 교육이다. 인권에 대한 교육, 인권을 통한 교육은 궁극적으로 지금의 인권적이지 않은 것들을 인권적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다. 책상이 있는 곳뿐만 아니라 인권의 이야기, 인권감수성이 필요한 모든 곳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 노동자들의 파업현장, 사람들이 모이는 광장에서도 인권교육은 가능해야 한다. 또 이는 교육을 통해 새로운 언어를 만난 사람들이 인권의 목소리를 키우는 데 관심을 갖고, 나아가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변화를 만들기 위해 함께할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인권교육이 그 변화를 일구어야 함을 뜻한다. 인권에 대한 교육을 인권을 통해 교육하고 그것이 인권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권교육, 바람이 되다

 

   인권교육 또한 다른 교육활동들처럼 대체로 비슷한 틀 속에서 이루어지지만 그 내용은 매번 같을 수는 없다. 참여자의 정체성이 다르고, 참여자들의 욕구가 다르고, 각자의 다양한 경험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완벽해보이는 교육안이나 프로그램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이들을 만나느냐에 따라 모든 내용을 다 재구성해야 할 때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인권교육은 주어진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전환을 필요로 한다. 교육은 무조건 전문가가 해야한다는 오해를 넘고, 공부는 책상에서만 이루어진다는 편견을 버리려고 한다. 이권을 원하는 사람, 그것을 교육으로 풀어내고 싶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언제든지 함께하고 싶다.

  「온다는 때로는 휘몰아치기도 하고 때로는 따뜻한 인권교육의 바람을 안고, 인권교육을 바라는 이들과 함께 성장하는 곳이다. 다시 가장 낮은 곳에서 불어오는 인권교육의 바람이 되고자 한다. 여행은 같이 떠나야 제 맛. ‘바람길의 여행자가 되실 분, 어서오시라!